(앱을 켠다.)
먼저 메인 화면부터 보여드리겠습니다.
메인 기능을 가장 위에 버튼식으로 두었고, 그 아래로 서울시 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수화한 서울시 TOP 10상권, (서울시 TOP 상권을 하나 하나 넘겨가면서) 이어서 자치구 내의 상권들만 비교하여 점수화한 자치구별 HOT 상권, (자치구를 하나하나씩 클릭해보면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직접 발로 걸어다니면서 분석을 할 때, 사진이나 메모 등을 남겨둘 수 있는 북마크 기능까지 (여기는 그냥 스크롤 내려서 일단 보여주기만!)
자 그럼 그 중에 먼저 메인 기능부터 보시죠.
(자치구 선택 및 업종 선택 후 분석 결과 나오는거 대기) 해당 자치구 내에서 업종별로 분석된 추천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상권 분석 시에 많이 고려되는 매출, 유동인구, 상주인구 별 점수와 더불어 해당 상권에 얼마나 많은 업종이 있는 지에 따른 점수인 업종 다양성 점수도 볼 수 있게 했고, 이것들의 가중치를 매겨서 총점을 도출해냈습니다.
그렇지만 유저 입장에서 원하는 건 여기서 끝이 아니죠! (이 부분은 Q 하나당 손짓과 함께!) Q) 그래서 여기가 어딘데? ⇒ 지도에서 위치도 확인하고, Q) 얘네 점수 신뢰성 있는 거 맞아? ⇒ 의심도 해봐야겠죠? Q) 그리고 그러려면 구체적인 수치들은 없나? 하는 생각이 들겁니다.
(상권 랭킹 중에 하나의 정보 보기 버튼을 누르면서) 그래서 저희는
지도 뷰로 이어지면서 해당 상권에 대한 정보를 바로 볼 수 있게 했습니다. 여기서는 각종 수치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소비자, 매출, 인프라 탭 클릭하고 차트들을 넘겨가며 몇 개 보여준다.)
부.득.이.한 사정으로 서울에 거주하고 계신 싸피 학우분들 계실까요?
(손을 드는 사람 중에 한 명을 골라서, 아무도 없으면 내가 들게) 오 거기 학우분은 혹시 어떤 자치구에 거주중이신가요?
네 그럼 거기로 한 번 가보겠습니다.
Q) 이 중에서 혹시 맘에 드는 곳 있으실까요?
네! 그럼 그곳을 북마크에 등록하고 (북마크 버튼 누르고 확인 버튼)
이렇게 경로가 잘 나오는 모습을 보실 수 있고, 이를 캡쳐해두도록 하겠습니다. (오른쪽 버튼과 왼쪽 볼륨키중 위쪽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화면 캡쳐 후 아래서 위로 화면 올려서 앱 종료)
네! 아쉽게도 지금은 갈 수가 없겠지만, 프로젝트가 끝난 만큼 이번 주말에 가셔서 푹 쉬시고 오시길 바라면서 시연 이어가겠습니다.
그런데 방금 북마크에 등록한 “어디어디(상권 이름)”, 앱을 완전히 종료하고도, 그리고 인터넷 연결을 종료하고도, 저희 어플리케이션에 잘 남아 있을까요? (아래서 위로 화면 올려서 아예 앱 종료 후에 다시 켜서 화면 내려서 북마크로 들어가서 그 곳 보여주기) (잘 기억하기!)
네! 그렇습니다! 저희는 로컬 데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북마크 기능에 한해서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도, 인터넷 연결도,
(그러고나서 이제 다시 LTE 켜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정보 보러가기 버튼을 통해 해당 상권 정보 및 위치에 대해서 바로 지도뷰에서 확인할 수 있구요. (여긴 직접 눌러보진 않기!)
아까 찍어둔 경로에 관한 사진을 사진첩에서 불러와서 저장하고, 또, 공유하기 기능을 통해 카카오톡이나 본인의 메모장에 작성한 내용과 사진을 포함하여 공유까지 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의견까지 들어볼 수 있습니다.
자, 여기까지 골목상권 맞춤 추천 서비스. 상 추 였습니다. 감사합니다.